필기 시험은 한개! 남았습니다. ㅋㅋ 더이상 없기를 바랍니다. ㅠㅠ
전에 올리려다가 이제야 겨우 올립니다.
캄보디아 현지 정보입니다. ^^ 타 봉사대에서 만들어진 자료 중 일부 불펌했움.. ㅠㅠ (죄송합니다)
선생님, 봉사대원 모두에게 좋은 자료인 것 같습니다.
주의깊게 읽어주세요. ^^
————————————-
1. 일반현황 및 건강지표
1.1 일반 현황
인도차이나반도 남서부에 위치한 Kingdom of Cambodia의 인구는 14,071천명(2005년)으로 남한의 약 1/3 정도이며, 면적은 18만 1,010㎢로 남한의 약 2배 정도 이다. 1968년에서 1993년 사이의 전쟁과 심각한 내전 등으로 국민 1인당 GDP(2004년)는 1,839$ 이며, 농업 부분이 GDP의 40% 정도를 차지한다. 성인 문자 해독률은 남자 82%, 여자 67% 이다. World Bank 자료에 의하면, 2004년 캄보디아의 1달러 이하 빈곤선 인구는 35%로 주변국인 라오스, 베트남 보다도 높으며 빈곤의 문제가 광범위하며 심각함을 알 수 있다.
1.2 건강 지표 등
WHO의 Western Pacific Region으로 분류되어 있는 캄보디아의 2003년 인구당 보건의료 총지출비용은 188$ 이며, GDP 대비 보건의료지출비용은 10.9% 로 GDP 대비 보건의료지출비용이 아시아 개발도상국 중에서는 가장 높다. 출생시 기대여명은 남자 51세, 여자 58세 이며, 출생시 건강기대여명(2002년)은 남자 45.6세, 여자 49.5세로 남한과는 20세 이상 차이가 있다. 어린이 사망률은 남/녀 각각 천명당 154명/ 127명 이며, 성인 사망률은 남/녀 각각 천명당 430명 / 276명 이다. 모성사망률은 출생수 10만명 당 437명으로 매년 2,000명 이상의 여성이 출산으로 인하여 사망하고 있다. 캄보디아 어린이와 여성의 영양불량(malnutrition) 상태를 살펴보면, 6개월 미만 어린이의 15%, 3-5세 어린이의 53%가 성장발육 장애를 겪고 있으며, 15-49세 가임여성의 21%가 저체중 이다. 여성의 광범위한 영양부족은 어린이 사망률의 가장 주요한 위험 요소 라는 점에서 심각성이 크다고 할 수 있다.
공공 보건 부문을 대체하기 위하여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는 민간 보건 부분은 취약한 구조와 재정적 어려움 가운데 있으며, 대부분의 가난한 국민들은 고가의 상업적 의료제공의 혜택을 받을 수 없다. 정부에서는 공공 보건 부문을 개발하기 위하여 노력하나 구조적 장애로 인하여 그 목표에 도달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2002 ICESCR-Cambodia Report)
2. 주요 건강문제
2.1 10대 이환율(Morbidity)과 사망률(Mortality)
이환율이 가장 높은 질환은 급성호흡기감염이며, 사망률이 가장 높은 질환은 결핵이다.
<표> 10대 이환율과 사망률의 원인 (WHO 2005)
순위 | 이환율 | 사망률 | ||||
질환 | N | 인구10만명당 이환율 | 질환 | N | 인구10만명당 사망률 | |
1 | 급성호흡기감염 | 940,839 | 7,182.77 | 결핵 | 661 | 5.00 |
2 | 설사 | 309,933 | 2,366.00 | 말라리아 | 492 | 3.80 |
3 | 말라리아 | 132,571 | 1,030.00 | 급성호흡기감염 | 449 | 3.43 |
4 | 기침(21일이상) | 54,695 | 417.54 | 교통사고 | 184 | 1.40 |
5 | 산부인과 질환 | 35,639 | 272.06 | 뇌막염 | 109 | 0.83 |
6 | 결핵 | 28,386 | 214.00 | 뎅기열 | 90 | 0.70 |
7 | 뎅기열 | 9,983 | 78.20 | 설사 | 70 | 0.53 |
8 | 교통사고 | 9,823 | 74.99 | 산부인과 질환 | 20 | 0.15 |
9 | 홍역 | 3,925 | 29.96 | 신생아 파상풍 | 19 | 0.15 |
10 | 이질 | 1,976 | 15.08 | 기타 파상풍 | 16 | 0.12 |
2.2 외래 건강문제
캄보디아 National Health Statistics Report(1998)에 의하면 외래의 주요 건강문제는 기타(42.29%), 기타 발열(22.39%), 급성호흡기감염(18.77%), 설사(11.41%), 말라리아(4.08%) 순서 이다. 특히 4세 이하 어린이에서 ‘기타’를 제외하면 ‘급성호흡기질환(주로 폐렴)과 설사, 말라리아, 신생아 파상풍’ 등이 외래에서의 주요 질환이다.
2.3 입원 건강문제
상기 NHS Report(1998)에 의하면 입원의 주요 건강문제는 기타(51.57%), 말라리아(13%), 결핵(10.02%), 급성호흡기감염I(8.78%), 설사(3.98%) 순서이다.
3. 특정 건강문제
캄보디아의 특정 건강문제로는 결핵, HIV/AIDS, 말라리아, 콜레라, 뎅기열, 외상, 나병 등에 대하여 살펴보았으며, HIV/AIDS에 대하여 보다 자세히 다루고자 한다.
3.1 결핵
캄보디아는 결핵으로 인한 부담이 세계에서 18번째로 큰 나라이다. 2005년 결핵 발생률은 인구 10만명 당 214명 이며, 사망률이 가장 높은 질병이다. 결핵 발견율은 60%, 치료율은 90% 이상 이며, 성인(15-49세) 결핵 환자의 최소 20%가 HIV감염을 동반하고 있다. 새로운 발병건수의 4.2%에서 다약제 내성(multidrug-resistant)이 발견된다.
3.2 HIV/AIDS
처음 보고된 1991년 부터 1998년 까지 HIV 감염은 빠르게 증가하여 아시아에서 HIV유병률이 가장 높은 국가 였다. 1997년 당시 15-49세 연령의 3.9%인 210,000명이 HIV에 감염되었다. 상업적 성행위 등이 HIV를 급속하게 전파시켰으며, 이러한 배경에는 여성으로 하여금 상업적 성행위를 강요하는 성적 불평등(gender inequality)과 빈곤이 존재하고 있다.
성인 HIV 감염자의 유병률은 지난 5년간 감소하는 추세이며, 2003년 1.9% 이다. 그러나 여전히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 가장 높은 유병률을 나타내고 있다. 2001년 말 AIDS로 인한 고아가 55,000명 이며 이들은 정신․신체적 스트레스 상황에 노출되어 있으며, 남자 보다는 여자 아이의 상황이 더 취약한 것으로 보고된다(HIV/AIDS in Cambodia, USCF).
최근 HIV 감염의 감소는 예방사업을 통한 새로운 환자의 감소 및 감염자의 AIDS로 인한 사망에 기인한 것으로 보고 있다. 1980년부터 2000년까지 37,000명이 AIDS로 사망하였으며 AIDS사망으로 2010-15년까지 기대여명은 7% 정도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캄보디아에서 HIV 예방사업의 성과는 상업적 성행위에서 100% 콘돔을 사용토록 한 국가적 노력 뿐만 아니라 다양한 방법을 통한 실제적․개방적인 정보제공과 교육, 의사소통 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정부에서는 14개의 HIV/AIDS 감염자를 수용하는 구역(operational districts)을 정하여 운영하고 있으며, 그곳에서 5,500명 이상이 바이러스증식을 억제하는 치료(antiretroviral therapy)를 받고 있다.
3.3 말라리아
2003년 인구 10만명 당 말라리아 발생률은 1,030명 이며, 말라리아로 인한 사망은 10만명 당 492명 이다.
3.4 콜레라
깨끗한 물의 공급은 농촌인구의 39.60%, 도시인구의 72%만 이용 가능하다. 즉 농촌인구의 60% 이상에 수도가 공급되지 않아 빗물, 우물물, 연못물을 식수로 이용하고 있다. 또한 개선된 위생상태의 혜택은 농촌인구의 16.40%, 도시인구의 55.40%만 이용 가능하다.
3.5 뎅기열(Dengue fever)
뎅기열의 발생률은 인구 10만명 당 78.2명 이며, 뎅기열의 연중 발생 및 사망은 매개체인 모기가 서식하기 좋은 고온다습한 우기(5-10월)에 집중되어 있다.
3.6 외상
외상의 원인은 주로 교통 및 지뢰 사고 이다. 캄보디아는 세계에서 지뢰로 인한 사지절단율이 가장 높은 나라로 약 40,000명이 사지절단을 경험하였다. 1995년 이후 부터는 교통사고 사상자 수가 지뢰로 인한 사상자 수를 추월하여 2002년 교통국의 자료에 의하면 교통사고 사망률이 자동차 10,000 대당 13 이며, 이는 ASEAN 국가 중에서는 가장 높다.
3.7 산부인과 질환
의료인의 부족으로 출생시 모성 사망의 직접적인 원인은 출혈, 전간, 패혈증, 유산 이며, 간접적 원인은 산과적 응급상황에 대한 대처가 부족한 점이다. 2000년 현대적 방법을 이용한 피임률은 19%, 전체적으로는 24% 정도이다.
3.8 기타
캄보디아 정신건강 문제에 대한 자료는 부족하나, 성인에서의 우울증과 성인 및 소아에서의 행동장애에 대한 몇몇 보고서들이 있다. 그 밖에 비감염성 질환의 발생률에 대한 공식적 자료는 없으며, 흡연으로 인한 유병률도 높은 지역 중의 하나이고 최근 불법적인 약물사용이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4. Millenium Development Goals
2003년 UN과 캄보디아 정부는 2015년을 목표로 한 Cambodia Millennium Developments Goals(CMDGs)을 발표하였으며, 그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5세이하 사망률을 출생수 1000명당 65 로 감소 (2002년 출생수 1000명당 125)
○ 유아사망률을 출생수 1000명당 50 으로 감소 (2000년 출생수 1000명당 95)
○ 모성사망률을 출생수 10만명당 140 으로 감소 (2000년 인구 10만명당 437)
○ HIV 유병률을 1.8%로 감소 (2003년 1.9%)
○ 공공시설내에서 치료받는 말라리아와 뎅기열의 수를 인구 1000명당 4.0과 0.4로 감소
○ 결핵균 도말검사 양성율을 인구 10만명당 135 로 감소
○ 안전한 수자원 공급 혜택을 받을 인구 분율(% of population)을 농촌은 50%, 도시는 80%로 증가 (2004년 농촌은 39.60%, 도시는 72%)
○ 개선된 위생상태의 혜택을 받을 인구 분율(% of population)을 농촌은 30%, 도시는 74%로 증가 (2004년 농촌은 16.40%, 도시는 55.40%)
Ⅲ. 맺는 글
캄보디아의 건강문제는 주로 결핵, HIV/AIDS, 말라리아, 뎅기열, 콜레라, 외상 등이며, 이는 식량의 부족, 오염된 상수도원, 위생시설과 예방접종 및 적절한 산전처치 등의 부족, HIV/AIDS 및 모기 예방법의 부족 등에서 비롯된 것으로 판단된다. 캄보디아의 GDP 대비 보건의료지출비용은 10.9% 로 아시아 개발도상국 중에서는 가장 높으나 보건의료 관련 지표들은 심각한 수준을 나타내고 있다.
어느 나라에서나 건강문제는 중요하지만 캄보디아의 건강문제가 보다 심각하게 받아들여지는 이유는 빈곤과 취약한 보건의료 환경의 악순환 고리가 단절되지 않는다는 점과 캄보디아의 주요 질병들이 예방 가능함에도 불구하고 확산된다는 점이다.
와!! 너무 좋은 정보!
셤때문에 바쁜데도 회장님 고생이 많아요~~
쌩유!
회장님..바쁘신데도.. 크흑.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